2026년 최저임금 시급 및 월 환산 예시(공식 고시 기준)
최저임금 인상 전환점
- 2026년 시급: 10,320원 (전년 대비 +290원, 인상률 약 2.9%)
- 결정 방식: 노사·공익위원 합의로 확정(17년 만의 합의 사례)
- 적용 시점: 2026년 1월 1일부터 전 사업장에 적용
2026년 시급·인상률 정보
| 항목 | 수치 | 비고 |
|---|---|---|
| 시급 | 10,320원 | 2025년 대비 +290원 |
| 인상률 | 약 2.9% | 전년 대비 |
| 월 환산액 | 약 2,156,880원 | 주 40시간·월 209시간 기준 |
월급 환산 계산 방법
- 표준 시간 확인: 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적용
- 기본 계산: 시급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- 추가 수당 확인: 주휴수당·야간/연장·휴일수당 등 사업장 규정과 법정 요건 점검
- 단시간·교대제 등은 실제 소정근로시간으로 재계산
주요 적용 조건 및 유의사항
- 적용 대상: 대부분의 근로자·사업장에 동일 시급 적용(예외 규정은 법령 확인)
- 수습·감액: 수습 3개월 이내 등 일부 요건에 한해 감액 가능(업무 숙련 요건 등)
- 계약·급여 명세: 시급·소정근로시간·수당 항목을 급여명세서에 명확히 기재
- 점검 포인트: 인건비 예산·교대/탄력근로제 운영·수당 규정 업데이트
비교 및 실제 영향 요약
- 월급 변화: 2025년 대비 약 6만 원 내외 증가(표준 근로 기준)
- 근로자 관점: 실수령액은 4대보험·세금·수당 여부에 따라 달라짐
- 사업주 관점: 인건비·수당 구조, 근무 스케줄·교대 편성 재점검 필요
2026년 최저임금 시급은 10,320원, 월 환산은 약 2,156,880원(209시간)입니다. 인상률은 2.9%로, 근로자·사업주 모두 계산 기준과 적용 예외를 확인해 정확히 대비하세요!
알아두면 좋은 꿀정보
▶ 중기부 상생페이백 신청 가이드|최대 30만 환급
▶ 민생회복지원금 2차 10만원 받는 법|기간·대상·신청
▶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환급신청|2025 대상·절차 한눈에